반응형

부동산 10월부터 최대 반값 복비, 정부 중개수수료 인하 확정, 부동산 중개 플랫폼

 

대표이미지

 

오는 10월부터 부동산 중개수수료 일명 복비가 최대 절반까지 줄어듭니다.

 

국토교통부는 '부동산 중개보수 및 중개서비스 시행규칙 개선 방안'을 확정해서 발표했습니다.

 

출처-국토교통부

 

주택 매매 거래에서 6억 원 이상은 중개수수료 요율 체계가 하향 조정됩니다.

 

6~9억 원 구간 요율은 0.5%->0.4%로 0.1%포인트 낮아집니다.

 

출처-연합뉴스

 

또한 매매가 9억원 이상 주택 거래 수수료가 0.9%에서 9억~12억 원은 0.5%, 12~15억 원은 0.6%, 15억원 이상은 0.7%로 상한 요율이 세분화됩니다.

 

매매가 6억 원 미만은 기존과 동일한 수수료 상한 체계가 유지됩니다.

 

출처-연합뉴스

 

임대차 거래 수수료는 3억 원 이상부터 요일이 지금보다 낮아집니다.

 

 

임대료 3~6억 원 구간 수수료율은 0.4%->0.3%로 0.1%포인트 인하됩니다.

 

현재 수수료율 0.8%로 고정돼 있는 6억원 이상 임대차 거래는 거래 구간을 세분화했습니다.

 

6~12억 원 구간 수수료율 상한은 0.4%로 지금보다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12~15억 원은 0.5%, 15억원 이사은 0.6%로 요율이 인하되었습니다.

 

출처-한겨레

 

국토교통부는 법제처 협의와 입법예고 과정을 최대한 단축해 이르면 10월 중순부터 새로운 시행규칙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라고 합니다.

 

출처-뉴스원

 

일선 공인중개사들 사이에선 한국공인중개사협회가 요구했던 고정요율 반영이 무시되며 공인중개사와 소비자 간 갈등이 확산될 수 있다는 분위기입니다.

 

출처-세계일보

 

반면 부동산 커뮤티니에서는 "여전히 복비가 비싸다"는 의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매도인과 매수인을 연결하며 집을 보여주는 것 외에 하는 일이 없다는 의견이 대부분입니다.

 

출처-뉴시스

 

또한 "집값 담합과 가두리 등을 통해 매도·매수인 모두에게 피해를 입히며 중개사 스스로 신뢰를 잃었다"는 따가운 목소리도 많습니다.

 

출서-동아일보

 

국토교통부가 최대 반값 복비를 확정 발표한 사이 기존에 '반값 복비'를 내세우던 부동산 중개 플랫폼 업체들은 중개보수 인하 정책에 호응해 복비를 더욱더 낮출 방침이라고 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선 기존 최대 중개보수 대비 '반의 반값'까지 혜택을 볼 수 있게 된 셈입니다.

 

복비가 좀 더 투명해지고 저렴해져서 중개사들과 매도 매수인이 더 이상 얼굴 찌푸리는 일이 없어지는 날을 기대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